본문 바로가기
어제의 기록

2023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자격조건 금리 한도 정리

by 올드레이스 2023. 4. 28.

디딤돌대출은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주택도시기금의 저금리 주택구입자금대출입니다. 디딤돌과 버팀목의 용어를 혼돈하는 경우가 있는데, 디딤돌주택구입자금대출, 버팀목주택전세자금대출을 말합니다. (버팀목대출은 하단 링크 참고하세요.)  이번엔 내집마련 디딤돌대출의 자격조건과 금리 등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대출대상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이하, 순자산가액 5.06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출금리  연 2.15% ∼ 연 3.00%
대출한도  일반 2.5억원(생애최초 일반 3억원), 신혼가구 및 2자녀 이상 가구 4억원 이내
대출기간  10년, 15년, 20년, 30년 (거치 1년 또는 비거치)

 

 

대출대상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1. 주택을 취득하기 위하여 주택매매계약을 체결한 자
  2. 대출접수일 현재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
  3. 세대주를 포함한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인 자
  4. 주택도시기금대출 및 은행재원 주택담보대출 미이용자
  5. 대출신청인과 배우자의 합산 총소득이 연간 6천만원 이하(생애최초, 신혼가구, 2자녀 이상 가구는 연간 7천만원)인 자
  6. 대출신청인 및 배우자의 합산 순자산 가액이 통계청의 ‘소득 5분위별 자산 및 부채현황’ 중 소득 4분위 전체가구 평균값 이하(2023년도 기준 5.06억원)인 자
  7. 신용정보회사의 신용평가가 일정점수 이상인 자, 신청인이 한국신용정보원 “신용정보관리규약”에서 정하는 아래의 신용정보 및 해제 정보가 남아있는 경우 대출 불가능

 

대상주택

[아래 요건을 충족하는 주택]

전용면적 평가액

전용면적이 85㎡(수도권을 제외한 도시지역이 아닌 읍 또는 면 지역 100㎡) 이하 주택

대출 접수일 현재 담보주택의 평가액이 5억원(신혼가구,  2자녀 이상 가구 6억원) 이하인 주택

 

 

대출금리

 

부부합산 연소득 10년 20년 30년 40년
~2천만원 이하 연 2.15% 연 2.25% 연 2.35% 연 2.40%
2천만원 초과~4천만원 이하 연 2.50% 연 2.60% 연 2.70% 연 2.75%
4천만원 초과~6천만원 이하 연 2.75% 연 2.85% 연 2.95% 연 3.00%

 

 

금리우대(중복적용불가)

  • 연소득 6천만원 이하 한부모가구 연 0.5%p
  • 장애인가구 연 0.2%p
  • 다문화가구 연 0.2%p
  • 신혼가구 연 0.2%p
  • 생애최초주택구입자 연 0.2%p

 

추가우대금리(중복적용가능)

 [우대금리 적용 후 최종금리가 연 1.5% 미만인 경우에는 연 1.5%로 적용]

  • 청약(종합)저축 가입자(본인 또는 배우자)
    - 가입기간 1년 이상이고 12회차 이상 납입한 경우 : 연 0.1%P 금리우대
  • - 가입기간 3년 이상이고 36회차 이상 납입한 경우 : 연 0.2%P 금리우대
  • 부동산 전자계약 체결(2023.12.31. 신규 접수분까지) 연 0.1%p
  • 다자녀가구 연 0.7%p, 2자녀가구 연 0.5%p, 1자녀가구 연 0.3%p
  • 신규 분양주택 가구(준공 전 분양아파트 또는 준공 후 분양전환 임대아파트의 최초 분양계약체결 가구) 0.1%p

 

 

 

2023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자격조건 금리 한도 정리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주택도시기금의 주택전세자금대출입니다. 버팀목과 디딤돌의 용어를 혼돈하는 경우가 있어 참고로 덧붙이자면, 버팀목은

olstory.tistory.com

 

디딤돌대출 신청

 

대출 심사 관련한 상담은 주택도시보증공사 콜센터 1566-9009 또는 아래의 기금 수탁은행 지점에서 가능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주택도시기금(하단 링크)를 참고하세요.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