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엔진오일의 주기적인 교체는 차량관리에서 기본적으로 관리해주어야 하는 소모품 중 하나입니다. 교체 주기가 경과하면 슬러지가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엔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하니 제때 교체하여 관리해 주는 것이 중요하겠죠. 엔진오일의 교환주기, 언제 교체해 주는 것이 좋은지 알아보고 엔진오일 종류에 대해서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엔진오일 교환주기
엔진오일은 통상적으로 가솔린 차량의 경우 1만 km 또는 12개월마다, 디젤 차량은 2만 km 또는 12개월마다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만, 이것은 통상적인 조건이고 주행환경에 따라 교환주기는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가혹조건에서는 가솔린 5천 km, 디젤은 1만 km 또는 6개월마다 교체할 것을 권합니다. 어떤 것을 가혹 조건이라고 하는지 살펴보면,
- 짧은 거리 반복 주행
- 공회전을 많이 할 경우
- 교통 체증이 심한 곳 주행을 많이 할 경우
등등.. 총 10가지가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짧은 거리 반복 주행, 공회전 과다, 교통 체증 심한 곳 주행빈도 높을 경우의 앞서 말한 세 가지가 해당됩니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출퇴근용으로 많이 이동하므로 짧은 거리 반복 주행도 많고, 신호등이 많아서 공회전 역시 많이 하게 되어 있습니다. 다니다 보면 어딜 가나 길이 막히는 곳이 많기 때문에 교통 체증 심한 곳 주행 역시 빈도가 높을 수밖에 없겠네요. 그렇기 때문에 엔진오일 교환주기는 통상조건이 아닌 가혹 조건 기준으로 바꿔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엔진오일 합성유와 광유의 차이
광유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적인 엔진오일로 원유를 정제해서 만든 엔진오일입니다. 광유는 엔진오일의 기본적 성능인 윤활력이 좋아서 합성유에 비해 기능이 떨어진다고 할 수 없습니다. 다만 합성유에 비해 교환주기가 짧은 편이라 상대적으로 자주 교체를 해주어야 하며, 합성유보다는 점도가 떨어져서 장시간 고속주행을 해야 하는 차량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합성유에 비해 저렴한 가격이 대표적인 장점입니다.
합성유는 윤활성을 최적화 할 수 있는 구조를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합성 기유를 사용하여, 열에 안정적이며 찌꺼기 발생이 적습니다. 합성유는 엔진오일 수명을 연장하고 엔진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으나 기유를 만들 때 여러 공정을 거쳐야 하기에 생산 비용이 높습니다. 따라서 교환 주기는 광유 엔진오일에 비해 길지만 가격은 비쌉니다.
광유 | 합성유 |
시내 정속 주행 단기간 운행 차량 |
고속 주행 장거리 운행 차량 |
광유와 합성유 모두 엔진오일이 갖춰야 하는 기본적인 윤활성능에는 충실하니, 상황과 맞게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교환주기 가혹조건에 충족하며.. 5천 km (보통 1년 주기), 광유 엔진오일로 교체하고 있습니다. 가혹 조건과 통상적인 교환주기를 감안해서 자신의 운전 상황에 맞게 교환시기를 앞당기거나 미루는 등의 주기 조절로 관리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정용 소화기, 소화기 보관 및 사용방법
화재사고는 예고 없이 순식간에 찾아오는 만큼 안전한 생활환경과 대비는 최선입니다. 가정에서도 자칫 부주의나 장치의 결함으로 불의의 큰 화재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에 소화기 비치나 사용
olstory.tistory.com
'어제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근로장려금 신청시기 지급액 소득구간 정리 (1) | 2023.05.02 |
---|---|
2023 내집마련 디딤돌대출 자격조건 금리 한도 정리 (1) | 2023.04.28 |
신용등급제에서 신용점수제로, 나의 신용점수는? 신용점수 올리기 (4) | 2023.02.20 |
2023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자격조건 금리 한도 정리 (1) | 2023.02.07 |
가정용 소화기, 소화기 보관 및 사용방법 (2) | 2023.01.30 |
댓글